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러닝화, 디자인 말고 발 모양부터 봐야 한다고요? 본문

How to 라이프

러닝화, 디자인 말고 발 모양부터 봐야 한다고요?

hacksmart 2025. 6. 28. 14:13
반응형

 

운동화 고를 때 제일 먼저 보는 게 뭐예요? 예쁜 색상? 브랜드? 그런데 진짜 중요한 건 따로 있어요. *바로 '자기 발 모양과 러닝 습관에 맞는지'*예요. 이거 잘 모르고 그냥 사면, 무릎이나 발목이 먼저 삐끗하더라고요. (물론 저도 전문가 아닌 건 안 비밀ㅎ)

1. 러닝화는 ‘용도별’로 나뉜다

운동화는 다 똑같지 않냐고요? 사실 러닝화도 종류가 굉장히 다양해요. ‘일반 러너용’, ‘스피드 러너용’, ‘트레일 러너용’ 이렇게 나뉘는데요, 목적에 따라 구조가 전혀 다르답니다. 예를 들어 트레일 러닝화는 미끄럼 방지가 특화돼 있고, 스피드 러닝화는 쿠션보다 반응성이 중요해요. 나도 잘 모르지만… 지형과 러닝 속도에 따라 달리 신는 게 정석이라고 하더라고요.

2. 쿠셔닝이 많다고 좋은 건 아니다

발이 편하다고 해서 쿠션이 많은 러닝화를 무조건 고르면… 오히려 발 근육이 약해질 수 있어요. 특히 평발이거나 아치가 낮은 분들은 과도한 쿠션이 발을 더 피로하게 만든다고 해요. 적당한 쿠션이 필요한데, 이게 또 브랜드마다 기준이 달라서 혼란스럽긴 하죠. 그래서 전문 매장에서 착화 후 걷기 테스트가 필수!

3. 발의 ‘내전(pronation)’ 상태를 체크하자

이건 많은 사람들이 놓치는 부분인데요, ‘내전(pronation)’이란 발이 땅에 닿을 때 안쪽으로 얼마나 말리는지를 뜻해요. 어떤 사람은 너무 많이 말리고(overpronation), 어떤 사람은 거의 안 말려요(underpronation). 러닝화는 이걸 보정해주는 구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그걸 모르면 오히려 통증 유발 가능성도 있다는 거!

4. 발볼과 아치 높이도 고려 대상

한국 사람은 유독 발볼이 넓은 경우가 많다고 해요. 그런데 해외 브랜드 신발은 대부분 좁은 편이라, 오래 뛰면 발가락이 아플 수 있어요. 또, 아치 높이에 따라 지지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발바닥 아치가 높은 사람은 별도 인솔이 필요하다고 하더라고요. 나도 정확히는 모르지만… 요즘은 매장 가면 3D 풋 스캔 해주는 곳도 있으니 참고해 보세요!

5. “러닝화는 정사이즈보다 반 치수 크게?”

이건 약간의 논쟁거리인데요, 일반적으로는 발이 붓는 걸 고려해서 반 치수 크게 신는 걸 추천하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너무 크면 뒤꿈치가 헐거워져서 아킬레스건 자극이 생길 수도 있어요. 정답은 없지만, 양말 두께, 러닝 시간, 발 부종 여부까지 생각해보는 게 현명하겠죠?

반응형